Matsuoka 등 영국 옥스포드 대학 연구팀은 최근 혈액줄기세포 조절에 있어서의 수용성 KIT 리간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.
출처: Blood. 2023 Nov 9;142(19):1622-1632. doi: 10.1182/blood.2022019018.
Loss of endothelial membrane KIT ligand affects systemic KIT ligand levels but not bone marrow hematopoietic stem cells
- 연구 배경 및 목적:
- Matsuoka 등은 이 연구에서 골수 내 조혈줄기세포(HSC) 조절에 있어서 세포막결합형 KITL(mKITL)과 용해형 KITL(sKITL)의 영향을 살펴보았다.
- 기존의 개념은 혈액줄기세포의 조절에 mKITL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었으나, 이 연구는 sKITL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HSC의 항상성 유지에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이다.
- c-KIT 수용체 및 KITL 리간드:
- 혈액줄기세포(HSCs)와 골수 전구 세포(progenitor cell)에 대한 c-KIT 수용체의 리간드인 KITL은 막결합형(mKITL)과 용해형(sKITL) 두 형태로 존재한다.
- sKITL은 세포막 접접부의 단백질 분해 절단을 통해 생성되며, mKITL은 단백질 분해 절단 부위를 포함하는 엑손을 건너뛰어 생성된다.
- 연구 방법 및 결론:
-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정교한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과 골수 이식 실험을 사용하여, 골수에 존재하는 혈액줄기세포(HSC) 유지에 있어서 sKITL이 국소적 mKITL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.
임상 응용 가능성
- sKITL 농도 조절의 의의
- 전신적 sKITL(soluble KITL) 농도의 조절은 건강한 HSC 기능을 증진시켜 골수 이식 개선 또는 암 상황에서의 약물 저항성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.
- 암 치료에서의 c-KIT 억제제
-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나타나는 c-KIT의 활성화 돌연변이와 관련된 치료 저항성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.
mKITL의 내피세포에서의 선택적 제거
- 연구자들은 mKITL을 내피세포에서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쥐 모델을 개발함.
- 이 모델에서 전신 sKITL 수준이 약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, 쥐에서 HSC의 수와 기능에는 중요한 변화가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함